김유진 | 2015/05/23 13:03
(1)분활(Segmentation)
-물체를 독립적인 하위 시스템으로 나눈다
-물체를 분해가 쉽도록 설계한다
-물체의 분해도를 증가 시킨다
(2)추출(Extraction)
-물체로부터 필요 없는 부분이나 물성을 추출한다
-물체로부터 필요한 부분이나 물성만 추출한다
(3)국부적 품질(Local Quality)
-물체 또는 환경을 균질한 상태에서 비균질 상태의 구조로 바꾼다
-다름 부품에 대해서는 다른 기능을 설정한다
-물체의 각 부위가 최상이 동작 조건이 되도록 한다
(4)비대칭(Asymmetry)
-대칭형을 비대칭으로 바꾼다
-객체가 이미 비대칭이라면 비대칭의 정도를 더 높인다
(5)통합 and 동시 작업(Consolidation & Multi-Thread)
-동일 , 유사, 또는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물체들을 결합한다
-동일, 유사, 또는 연관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물체를 결합한다
(6)다용도(Multi-Fuction)
-하나의 객체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
-따라서, 다른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다
(7)포개기(Nesting)
-하나의 객체를 다른 객체의 속에 넣는다
-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구멍을 통과한다
(8)공중 부양(Counter-Weight)
-부력이 제공되는 다른 물체와 연결하여 무게를 상쇄 시킨다
-공기 역학적 힘이나, 유체 역학적 힘으로 물체의 무게를 상쇄 시킨다
(9)사전 반대 조치(Preliminary Counter Action)
-미리 요구되는 작용의 반대 작용을 수행한다
-지나치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스트레스를 보정하기 위해 미리 반대의 응력을 준다
(10)사전 조치(Preliminary Action)
-미리 요구되는 작용을 수행한다
-미리 물체를 최상의 동작 위치에 두고, 공급에 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인다
(11)사전 예방 조치(Preliminary Compensation)
-물체의 신뢰성이 낮으면 미리 준비된 비상수단으로 상쇄 시킨다
(12)굴리기(Equipotential)
-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필요가 없도록 작업 조건을 변화 시킨다
(13)역방향(Do It Reverse)
-요구되는 작용을 거꾸로 한다
-고정 부품은 움직이게, 유동부품은 고정시킨다
-물체를 돌리고, 뒤집어라
(14)곡선화(Culvature Increase)
-물체의 형태를 직선에서 곡선으로 바꾼다
-직선 운동은 회전 운동으로 바꾼다
-롤러, 볼, 나선형을 이용한다
(15)자유도 증가(Dynamicity)
-물체의 특성이나 외부 환경을 동작 단계마다 최상이 되도록 가변 시칸다
-물체를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분리 한다
-물체를 가변되게 또는 움직이게 한다
(16)초과 & 부족(Partial & Excessive)
-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비싼 대가를 치르기 보다는 '조금더' 혹은 '조금 덜'하는 방법으로 해결한다
(17)차원 변화(Dimension Change)
-물체의 배치나 운동은 1차원에서 2차원, 3차원으로 바꾼다
-물체를 기울이거나 돌린다
-물체의 반대면을 이용한다
(18)진동(Vibration)
-물체가 진동 운동하게 한다
-물체의 고유 진동수 및 공진을 이용한다
-물체의 진동 주파수를 초음파 대역까지 증가 시킨다
(19)주기적 작용(Periodic Action)
-지속적 작용은 주기적 작용으로 바꾼다
-작용이 이미 주기적이면 주파수를 바꾼다
-작용과 그 다음 작용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이용한다
(20)유용한 작용의 지속(Conntinuty of Useful Action)
-지속적으로 유용한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
-작용이 쉬지 않고 진행 되도록 한다
-작용과 그 다음 작용 사이의 시간 터울을 이용한
다
(21)급속 통과(Rushing Through)
-가장 위험하고, 유해한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진행율을 증가 시킨다
(22)전화위복(Convert Harmful to Useful)
-바람직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해로운 요소를 활용한다
-유해한 요소를 또, 다른 유해한 요소와 결합하여 제거한다
-더 이상 유해하지 않을 범위까지 유해한 정도를 증가한다
(23)피드백((Feedback)
-피드백을 도입한다
-이미 피드백이 있으면, 그 크기나 영향을 바꾼다
(24)중간 매개물(Intermediate)
-작용을 수행하거나 전당하기 위ㅐ 중간 매개물을 사용한다
-쉽게 제거할 수 있는 객체에 원래 객체를 임시로 연결한다
(25)셀프 서비스(Self-Service)
-물체 스스로 보완 작용을 하고, 유지 보수할 수 있게 한다
-버리는 재료와 에너지를 이용한다
(26)복사(Copy)
-깨지기 쉬운 원래 객체나 작동하기 불편한 객체 대신에 값싼 복제품을 사용해야 한다
-가시 광선이 사용되면 적외선이나 자외선 복제품으로 바꾼다
-물체를 그 물체의 광학 이미지로 대체해서 이미지를 확대 축소한다
(27)값싸고 짦은 수명(Cheap Short Life)
-비싸고 수명인 긴 물체를 값싸고 수명이 짦은 일회용으로 사용한다
(28)기계적 시스템의 대체(Replacing Mechanical System)
-기계적 장치를 광학, 음향, 미각과 같은 시스템으로 바꾼다
-물체와 상호 작용 할 수 있는 전기적, 자기적 장(Field)을 사용한다
-고정장은 유동장으로, 불 규칙장은 규칙장으로 바꾼다
(29)공기 및 유압 사용(Pneumatics and Hydraulic System)
-물체의 고체 부분을 기체나 액체로 대체한다
-기체나 액체 부분은 팽창을 위해 공기나 물을 사용한다
(30)앎은 막(Flexible Membrane and Thin Film)
-통상적인 구조물을 유연한 막이나 얆은 필름으로 대체한다
-유연한 막이나 얆은 필름을 이용하여 격리 시킨다
(31)다공성 물질(Porous Material)
-물체를 다공성으로 만들거나 다공성 물질을 사용한다
-물질에 있는 구멍을 사용한다
-이미 물질이 다공성이라면, 구멍을 미리 어떤 물질로 채워둔다
(32)색깔 변화(Chaging Color)
-물체 또는 환경의 색을 바꾼다
-물체 똔느 환경의 투명도를 바꾼다
-관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색 첨가제, 형광 첨가제를 사용한다
-발광 추적이나, 추적 원자를 사용한다
(33)동질성(Homogeneity)
-본체와 상호 작용하는 주변 물체는 본체와 동일한 재료로 만든다
-동일한 재료가 불 가능하면, 비슷한 특성을 지닌 재료로 만든다
(34)폐기 및 재생(Rejection and Regeneration)
-사물의 요소가 기능을 마치면, 폐기하거나 작동 도중 개조한다
-폐기하는 것에는 버리기, 녹이기, 증발 시키기등이 있다
-사물 중에서 이미 사용된 부분은 작동중에 원 위치한다
(35)속성 변화(Parameter Change)
-시스템의 물리적 상태를 변화 시킨다
-농도나 밀도를 변화 시킨다
-유연성의 정도를 변화 시키거나, 온도나 부피를 변화 시킨다
(36)상 전이(Phase Transformation)
-상 전이 현상을 이용한다
-상 전이때 부피의 변환, 열의 발산, 형상의 변화들을 이용한다
(37)열 팽창(Thermal Expansion)
-온도 변화에 의한 물질의 팽창 및 수축을 이용한다
-열 팽창 계소가 다른 여러가지 재료를 이용한다
(38)산화제(Oxydent)
-한 수준의 산화로부터, 더 높은 수준의 산화로 바꿔간다
-일반 공기는 산소로, 산소는 오존으로 바꾸어 간다
(39)불 활성 환경(Inert Environment)
-정상적인 환경을 비 활성 환경으로 대체한다
-사물에 중성 물질이나, 중성의 첨가제를 넣는다
-작업을 진공속에서 처리한다
(40)복합 재료(Composite Material)
-동질의 재료를 복합 재료로 대체한다